Docker

도커(Docker)는 경량의 이식 가능한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를 자동화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의존성,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을 포함한 독립적인 실행 단위로,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컨테이너란?

컨테이너(Containers)는 경량이고 이식 가능하며 격리된 소프트웨어 환경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그 의존성들과 함께 패키징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일관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컨테이너는 개발, 배포, 관리 과정을 단순화하며, 기반 인프라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보장한다.

컨테이너의 필요성

컨테이너는 실행 환경을 표준화하여 팀 작업 시 발생하는 환경 불일치 문제를 해결한다. 컨테이너가 등장하기 전에는 팀원이 공유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로컬 환경을 설정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로 인해 흔히 "내 컴퓨터에서는 잘 되는데(works on my machine)"라는 문제가 발생하곤 했다.

Bare Metal vs VMS vs Containers

베어 메탈(Bare Metal)은 애플리케이션을 하드웨어 위에서 직접 실행하여 최고의 성능을 제공하지만, 유연성이 제한된다. 가상 머신(VM)은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해 여러 운영체제 인스턴스를 실행하며, 강력한 격리를 제공하지만 오버헤드가 크다. 컨테이너(Container)는 호스트 운영체제 커널을 공유하여 VM보다 가볍고 효율적인 격리를 제공하면서도 이식성을 유지한다.

Docker와 OCI

OCI(Open Container Initiative)는 리눅스 재단이 주도하는 프로젝트로, 컨테이너 포맷과 런타임에 대한 업계 표준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주된 목적은 정의된 기술 사양을 통해 컨테이너 환경의 호환성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Underlying Technologies 펼치기

도커 컨테이너는 리눅스 커널 기술을 활용하여 격리와 자원 관리를 수행한다.

  • 네임스페이스(Namespaces): 프로세스를 격리한다.
  • cgroups(Control Groups): 자원 사용 한계를 설정한다.
  • Union 파일시스템(Union Filesystems): 효율적인 계층형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 덕분에 도커 컨테이너는 호스트 커널을 공유하면서도 경량, 이식성, 보안성을 갖춘 환경을 제공한다.


네임스페이스란?

도커 네임스페이스(Docker Namespaces)는 리눅스 커널 기능으로, 전역 시스템 자원의 분리된 인스턴스를 제공하여 컨테이너를 위한 격리된 환경을 만든다. 도커는 PID, NET, MNT, UTS, IPC, USER 네임스페이스를 활용해 각 컨테이너가 자신만의 고유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도록 하여, 경량·이식 가능·보안성 있는 컨테이너화를 가능하게 한다.


cgroups(Control Groups)

cgroups는 리눅스 커널 기능으로, 프로세스 그룹에 대해 CPU, 메모리, I/O 같은 시스템 자원을 제한하고 관리한다. 도커는 cgroups를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자원 사용을 제약함으로써 예측 가능한 성능을 보장하고, 컨테이너가 과도한 시스템 자원을 소모하지 않도록 한다.


Union Filesystems

Union 파일시스템(UnionFS)은 여러 디렉토리를 원본을 수정하지 않고 겹쳐서(overlay) 하나의 가상 계층형 파일 구조를 만드는 기술이다. 도커는 이를 활용해 디렉토리 내용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하나로 마운트하여, 중복을 최소화하고 이미지 크기를 줄이는 계층형 파일시스템 방식으로 스토리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Installation/Setup 펼치기

도커(Docker)는 설치와 설정을 쉽게 하고 GUI 기능을 제공하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인 Docker Desktop을 제공한다. 대안으로,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없이 명령줄 전용 기능만을 제공하는 Docker Engine을 설치할 수도 있다.


Docker Desktop(Win/Mac/Linux)

Docker Desktop은 Windows, macOS, Linux에서 사용할 수 있는 GUI 기반 종합 개발 환경이다. 이 환경에는 Docker Engine, CLI, Buildx, Extensions, Compose, Kubernetes, 자격 증명 헬퍼(credentials helper) 등이 포함되어 있어, 데스크톱 플랫폼에서 컨테이너 개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한다.


Docker Engine(Linux)

Docker Engine은 컨테이너를 생성·관리하고 이미지를 빌드하며, Docker API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런타임의 핵심이다. 이 엔진은 Linux, Windows, macOS에서 실행되며, Docker Desktop의 기반이자 서버에서 독립적으로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도커 환경을 제공한다.

Docker Basics 펼치기

도커(Docker)는 경량의 이식 가능한 컨테이너 안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패키징, 배포하는 과정을 단순화하는 플랫폼이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Dockerfile(빌드 지침), 이미지(스냅샷), 컨테이너(실행 인스턴스)가 있으며, 기본 명령어로는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file 빌드, 포트 매핑을 통한 컨테이너 실행, 컨테이너 및 이미지 관리 등이 있다.

컨테이너란?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의존성(라이브러리, 바이너리, 설정 파일)을 포함한 경량·독립·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다.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을 환경으로부터 격리하여, 다양한 시스템에서 일관되게 동작하도록 보장한다.

도커 구성 요소

  • Dockerfile: Docker 이미지를 빌드하기 위한 명령어를 담은 텍스트 파일
  • Docker Image: Dockerfile로부터 생성된 컨테이너 스냅샷. Docker Hub 같은 레지스트리에 저장·다운로드 가능
  • Docker Container: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컨테이너 인스턴스
Data Persistence 펼치기

도커(Docker)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의존성을 포함한 코드를 호스트 운영체제로부터 분리된 격리된 컨테이너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휘발성(ephemeral)이므로, 컨테이너가 종료되면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두 사라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도커는 다양한 데이터 영속성(persistence) 방법을 제공한다.


Ephemeral Container Filesystem

기본적으로 도커 컨테이너 내부의 스토리지는 휘발성(ephemeral)이다. 즉, 컨테이너 안에서 발생한 데이터 변경이나 수정은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동안만 유지되며, 컨테이너가 중지되고 제거되면 모든 관련 데이터가 사라진다. 이는 도커 컨테이너가 본질적으로 무상태(stateless)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시적·단기 저장소는 "휘발성 컨테이너 파일 시스템(ephemeral container file system)"이라 불린다. 이 기능은 도커의 중요한 특징으로, 컨테이너 상태에 신경 쓰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일관되게 다양한 환경에 배포할 수 있도록 한다.


Volume Mounts(볼륨 마운트)

Volume Mounts는 호스트 시스템의 폴더나 파일을 컨테이너 내부의 폴더나 파일에 매핑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가 제거되더라도 데이터가 컨테이너 외부에 보존될 수 있다. 또한 여러 컨테이너가 동일한 볼륨을 공유할 수 있어, 컨테이너 간 데이터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다.


Bind Mounts(바인드 마운트)

바인드 마운트(Bind Mounts)는 볼륨에 비해 기능이 제한적이다. 바인드 마운트를 사용할 때는 호스트 머신의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컨테이너 안에 마운트되며, 이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호스트 머신의 절대 경로로 참조된다. 반대로 볼륨(Volume)을 사용할 때는 호스트 머신의 도커 전용 스토리지 디렉토리 안에 새로운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해당 디렉토리의 내용은 도커가 직접 관리한다.

Using 3rd Party Images 펼치기

서드파티 이미지(Third-party Images)Docker Hub 또는 다른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에서 제공되는 사전 빌드된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다. 이 이미지는 개인이나 조직이 생성·관리하며, 사용자는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


Using Databases

데이터베이스를 도커 컨테이너에서 실행하면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고 배포를 쉽게 할 수 있다.Docker Hub에는 MySQL, PostgreSQL, MongoDB와 같은 인기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미리 만들어진 이미지가 다수 제공된다.


Command Line Utilities

도커 이미지는 명령줄 유틸리티독립 실행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할 수 있다.

Building Container Images 펼치기

컨테이너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코드, 런타임, 시스템 도구, 라이브러리, 설정을 모두 포함한 실행 가능한 패키지다. 커스텀 이미지를 빌드하면, 모든 의존성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을 Docker가 지원하는 어떤 플랫폼에서든 원활하게 배포할 수 있다.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하는 핵심 요소는 Dockerfile이다. Dockerfile은 도커 이미지를 어떻게 구성할지에 대한 명령어가 담긴 스크립트로, 각 명령어는 이미지 안에서 새로운 레이어(layer)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변경 사항 추적이 쉬워지고 이미지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Dockerfile

Dockerfile은 도커 엔진이 이미지를 빌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목록을 담은 텍스트 문서다. Dockerfile의 각 명령어는 이미지에 새로운 레이어(layer)를 추가하며, 도커는 이 명령어들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빌드한다. 그 후, 빌드된 이미지를 이용해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다.


Efficient Layer Caching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할 때 도커는 새로 생성된 레이어(layer)를 캐시한다. 이후 다른 이미지를 빌드할 때 이 레이어들을 재사용할 수 있어, 빌드 시간을 줄이고 대역폭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캐싱 메커니즘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레이어 캐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커는 Dockerfile의 각 명령어(RUN, COPY, ADD 등)에 대해 새로운 레이어를 생성하며, 명령어가 이전 빌드 이후 변경되지 않았다면 기존 레이어를 재사용한다.


Reducing Image Size

도커 이미지 크기를 줄이는 것은 스토리지 최적화, 전송 속도 향상, 배포 시간 단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주요 전략은 다음과 같다.

  • Alpine Linux와 같은 최소한의 베이스 이미지를 사용한다.
  • 멀티 스테이지 빌드(Multi-stage Build)를 활용해 불필요한 빌드 도구를 제외한다.
  • 필요 없는 파일과 패키지를 제거한다.
  • 명령어를 결합해 레이어 수를 최소화한다.
Container Registries 펼치기

컨테이너 레지스트리(Container Registry)는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를 위한 중앙 집중식 저장소이자 배포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미지 형태로 손쉽게 공유하고 배포할 수 있다.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는 다양한 운영 환경에 걸쳐 컨테이너 이미지를 빠르고, 신뢰성 있게, 안전하게 배포할 수 있게 해주므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DockerHub

Docker Hub은 클라우드 기반의 레지스트리 서비스로,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를 위한 주요 공개 저장소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도커 허브를 통해 이미지를 저장, 공유, 배포할 수 있으며, 무료 공개 저장소와 유료 비공개 저장소 모두 제공된다. 또한 Docker CLI와 매끄럽게 통합되어 이미지를 쉽게 푸시(push)·풀(pull) 할 수 있다. Docker Hub에는 소프트웨어 공급업체가 관리하는 공식 이미지, 소스 코드 저장소와 연결된 자동 빌드, 그리고 저장소 이벤트에 따라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는 웹훅(webhook)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DockerHub Alternatives

컨테이너 이미지는 Docker Hub뿐만 아니라 다양한 레지스트리에 저장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은 자체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 Google Cloud Platform → Artifact Registry
  • AWS → Elastic Container Registry (ECR)
  • Microsoft Azure → Azure Container Registry (ACR)

또한 GitHub도 자체 레지스트리를 제공하며, 이는 컨테이너 빌드를 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와 통합할 때 유용하다.


Image Tagging Best Practices

도커 이미지 태깅(Docker Image Tagging) 모범 사례는 명확하고 일관성 있으며 유용한 라벨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다.

  • 릴리스를 위해 시맨틱 버전(semantic versioning)을 채택한다.
  •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모호한 latest 태그 사용을 피한다.
  • 빌드 날짜나 Git 커밋 해시 같은 관련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 환경별(개발, 스테이징, 운영 등)로 구분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 변형(variants)에 대해 설명적인 태그를 사용한다.
  • CI/CD 파이프라인에서 태깅을 자동화한다.
  • 오래된 태그는 주기적으로 정리하고, 팀 전체가 따를 수 있도록 규칙을 문서화한다.

이러한 모범 사례를 따르면 효율적인 이미지 관리가 가능해지고, 조직 내 협업이 더욱 원활해진다.

Running Containers 펼치기

docker run 명령은 지정된 이미지로부터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시작한다. 이 명령은 docker createdocker start 작업을 결합한 것으로, 컨테이너의 런타임 환경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환경 변수를 설정하고, 포트와 볼륨을 매핑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정의하고, 리소스 제한을 지정할 수 있다. 이 명령은 백그라운드 실행을 위한 detached 모드, 셸 접근을 위한 interactive 모드, 그리고 이미지에 정의된 기본 명령을 재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일반적인 플래그에는 -d (detached 모드), -p (포트 매핑), -v (볼륨 마운트), --name (사용자 지정 컨테이너 이름 할당)이 포함된다. docker run을 이해하는 것은 도커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배포하고 관리하는 데 기본적이다.


Running Containers

데이터베이스를 도커 컨테이너에서 실행하면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고 배포를 쉽게 할 수 있다.Docker Hub에는 MySQL, PostgreSQL, MongoDB와 같은 인기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미리 만들어진 이미지가 다수 제공된다.


Docker Compose

Docker Composedocker-compose.yml이라는 YAML 파일을 사용해 멀티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실행하는 도구다. 이 파일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네트워크, 볼륨이 정의되며, 단일 명령어로 전체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관리·실행할 수 있어 오케스트레이션을 단순화한다.


Runtime Configuration Options

도커의 런타임 구성 옵션(runtime configuration options)은 컨테이너 환경을 강력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리소스 제한, 네트워크 설정, 보안 프로필, 로깅 드라이버 등을 조정해 성능을 최적화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환경 변수 설정, 볼륨 마운트, 기본 동작 재정의 같은 옵션도 제공되어, 컨테이너를 특정 요구사항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고급 사용자라면 커널 기능(capabilities) 조정이나 재시작 정책(restart policies) 설정 같은 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 명령줄 플래그나 Docker Compose 파일을 통해 이러한 옵션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테이너가 어디서 실행되든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동작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Container Security 펼치기

컨테이너 보안(Container Security)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부터 배포, 실행 시점까지 보호하기 위한 광범위한 관행과 도구들을 포함한다. 이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보호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취약하지 않은 코드만 사용하도록 보장하며, 컨테이너 환경에 대한 강력한 접근 제어를 구현하고, 컨테이너가 최소 권한 원칙을 따르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예상치 못한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컨테이너 간 통신을 보호하며, 호스트 환경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도 포함된다. 효과적인 컨테이너 보안은 DevSecOps 워크플로우에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개발 속도나 민첩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컨테이너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가시성과 보호를 제공한다.


Image Security

이미지 보안(Image Security)은 도커 컨테이너를 환경에 배포할 때 매우 중요한 요소다. 사용하는 이미지가 안전하고, 최신 상태이며, 취약점이 없는지를 보장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섹션에서는 도커 이미지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범 사례와 도구를 살펴본다. 공개 레지스트리에서 이미지를 가져올 때는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이미지(official images)를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출발점으로 사용해야 한다. 공식 이미지는 도커에 의해 검증되며, 정기적으로 보안 패치가 적용된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이미지는 Docker Hub 또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에서 찾을 수 있다.


Runtime Security

도커에서의 런타임 보안(Runtime Security)은 컨테이너 실행 중 안전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나 악의적 활동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는 컨테이너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권한을 제한하기 위한 접근 제어를 구현하며, 의심스러운 활동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효과적인 런타임 보안은 검증된 이미지만 배포되도록 보장하고,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감사(audit)하여 규정 준수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취약점 악용을 방지하고, 컨테이너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원하는 보안 수준(Security Posture)을 유지하는 강력한 방어 계층을 제공한다.

Docker CLI 펼치기

도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Docker CLI)는 도커 엔진과 상호작용하는 강력한 도구로, 개발자와 운영자가 컨테이너 및 관련 리소스를 빌드, 관리, 트러블슈팅할 수 있게 해준다.

도커 CLI는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하여 도커의 모든 측면을 제어할 수 있다.

  • 컨테이너 생성·관리: docker run, docker stop
  •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 네트워크 관리: docker network
  • 스토리지 관리: docker volume
  • 시스템 상태 확인: docker ps, docker info

직관적인 문법과 유연성을 갖춘 Docker CLI는 복잡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개발 프로세스 단순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유지보수를 쉽게 만들어준다. 따라서 도커 관리와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기본적인 핵심 유틸리티라 할 수 있다.


Docker Images

도커 이미지(Docker Images)는 소프트웨어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코드, 런타임, 라이브러리, 시스템 도구를 모두 포함한 경량의 독립 실행 패키지다. 도커 이미지는 효율적인 저장을 위해 레이어(layer) 구조로 빌드되며, 컨테이너의 청사진(blueprint) 역할을 한다. 또한 Docker Hub 같은 레지스트리를 통해 공유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된 배포를 가능하게 한다.


Containers

컨테이너(Containers)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공유 운영체제 커널을 사용하는 격리된 경량 환경으로, 서로 다른 컴퓨팅 환경에서도 일관성과 이식성을 보장한다.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코드, 의존성, 설정을 모두 캡슐화하여,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어디서나 손쉽게 이동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커 CLI를 사용하면 docker run으로 컨테이너를 생성·시작하고, docker ps로 실행 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하며, docker stop으로 중지하고, docker exec으로 실시간 상호작용할 수 있다. CLI는 개발자가 컨테이너를 빌드, 제어, 디버깅할 수 있는 강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개발과 운영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한다.


Docker Volumes

도커 볼륨(Docker Volumes)은 컨테이너 파일시스템 외부에서 데이터를 관리·저장하는 영속적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컨테이너가 삭제되거나 재생성되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된다. 볼륨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로그, 설정 파일처럼 컨테이너 재시작이나 업데이트 이후에도 보존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이상적이다. 도커 CLI에서는 docker volume create로 새로운 볼륨을 정의하고, docker volume ls로 모든 볼륨을 확인하며, docker run -v로 특정 컨테이너에 볼륨을 마운트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고, 백업 과정을 단순화하며, 컨테이너 간 데이터 공유를 지원하기 때문에 상태 기반(stateful)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요소가 된다.


Docker Networks

도커 네트워크(Docker Networks)는 컨테이너들이 서로 및 외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필요한 연결성을 제공한다. 도커는 기본적으로 bridge, host, overlay와 같은 여러 네트워크 유형을 제공하며, 이는 격리된 환경, 고성능 시나리오, 멀티 호스트 간 통신 등 다양한 사용 사례에 적합하다. 도커 CLI를 사용하면 docker network create로 커스텀 네트워크를 정의하고, docker network ls로 기존 네트워크를 조회하며, docker network connect로 컨테이너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개발자는 컨테이너 간 상호작용을 제어할 수 있으며, 분산 애플리케이션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Developer Experience 펼치기

도커(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테스트, 실행할 때 일관되고 격리된 환경을 제공하여, 흔히 발생하는 “내 컴퓨터에서는 잘 되는데(It works on my machine)”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개발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 개발자는 도커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과 의존성을 이식 가능한 컨테이너로 패키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로컬 개발부터 스테이징, 프로덕션에 이르기까지 환경 간 일관성을 보장한다. 간단한 설정과 환경 재현성은 온보딩 속도를 높이고, 충돌을 최소화하며, 개발자가 설정 문제 해결보다 코딩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Docker Compose 같은 도구는 복잡한 멀티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오케스트레이션할 수 있어, 프로토타이핑, 반복(iteration), 협업을 쉽게 만들어 전체 개발 라이프사이클을 간소화한다.


Hot Reloading in Docker

레이어 캐싱(layer caching)을 활성화하면 이미지 빌드 속도를 높일 수 있지만, 코드가 바뀔 때마다 컨테이너 이미지를 다시 빌드하고 싶지는 않다. 대신, 컨테이너 안의 애플리케이션 상태가 코드 변경 사항을 즉시 반영하도록 하고 싶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바인드 마운트(bind mounts)핫 리로딩(hot reloading) 유틸리티를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Debuggers in Docker

컨테이너 기반 개발이 로컬 개발만큼 경쟁력을 가지려면, 우리는 컨테이너 내부에서 디버거를 실행하고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Tests

우리는 테스트를 프로덕션과 가능한 한 유사한 환경에서 실행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이를 컨테이너 내부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이에는 단위 테스트(Unit Tests),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s), 엔드투엔드 테스트(E2E Tests)가 포함될 수 있으며, 모두 도커 컨테이너 안에서 실행되어 실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면서 외부 의존성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도커 CLI와 Docker Compose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격리된 테스트 환경을 만들고, 테스트를 병렬로 실행하며, 필요한 인프라를 자동으로 생성(spin up)·해제(tear down)할 수 있다.


Continuous Integration(CI)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은 코드가 버전 관리 시스템에 푸시될 때마다 빌드, 테스트 등 특정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개념이다. 컨테이너의 경우, 우리가 하고 싶은 작업들은 다음과 같다.

  • 컨테이너 이미지 빌드
  • 테스트 실행
  • 컨테이너 이미지 취약점 스캔
  • 유용한 메타데이터로 이미지 태깅
  •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에 푸시
Deploying Containers 펼치기

컨테이너 배포는 도커와 컨테이너화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손쉽게 확장하며, 환경 간 일관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단계다. 이 주제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실행하기 위해 도커 컨테이너를 배포하는 방법에 대한 개요를 다룬다.


Nomad: Deploying Containers

Nomad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관리, 확장할 수 있게 해주는 클러스터 관리자이자 스케줄러다. Nomad는 노드 장애, 리소스 할당,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또한 Docker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다른 컨테이너 런타임과 비(非)컨테이너화 애플리케이션도 실행할 수 있다.


Docker Swarm

Docker Swarm은 도커의 네이티브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로, 사용자가 여러 도커 호스트에 걸쳐 컨테이너를 배포, 관리,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Swarm은 여러 도커 노드를 하나의 통합된 클러스터로 변환하여, 간단한 선언적 명령어를 통해 고가용성, 로드 밸런싱, 자동 컨테이너 스케줄링을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롤링 업데이트, TLS 암호화를 통한 통합 보안 같은 기능을 지원하여, 쿠버네티스(Kubernetes) 같은 더 복잡한 오케스트레이터에 비해 접근하기 쉬운 대안을 제시한다. Docker CLI와의 긴밀한 통합 및 간단한 설정 덕분에, Swarm은 작은 규모에서 중간 규모의 배포에 적합하며, 단순성과 직관적인 관리가 우선시되는 경우 유용하다.


Kubernetes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소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파드(Pod)라는 논리적 단위로 조직화하고, 선언적 설정을 통해 서비스 디스커버리, 로드 밸런싱, 스케일링을 관리함으로써 복잡한 컨테이너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또한, 클러스터 전반에 걸쳐 컨테이너를 배포할 수 있으며, 자동 재시작, 교체, 롤백 같은 자가 치유(self-healing) 기능을 통해 고가용성과 장애 허용성을 보장한다. 쿠버네티스는 방대한 생태계와 유연성을 바탕으로 대규모 분산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사실상 표준이 되었으며, 운영을 단순화하고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PaaS Options for Deploying Containers

컨테이너 배포를 위한 PaaS(Platform-as-a-Service) 옵션은 개발자가 기반 인프라를 신경 쓰지 않고도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배포, 확장할 수 있는 간소화된 관리형 환경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PaaS 서비스로는 Google Cloud Run, Azure App Service, AWS Elastic Beanstalk, Heroku 등이 있으며, 이들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복잡성을 추상화하면서 자동 확장, CI/CD 파이프라인 통합,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서버 관리보다 애플리케이션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하여, 팀이 빠르게 개발·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최소한의 운영 부담으로 프로덕션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