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S

버전 제어 시스템(VCS)은 코드나 문서의 변경 사항을 시간 경과에 따라 관리하고 추적하여 여러 사용자가 프로젝트에서 효율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VCS는 파일의 모든 변경 사항을 기록하여 개발자가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고, 변경 사항을 비교하고, 수정 내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VCS는 저장소가 중앙 서버에 호스팅 되는 중앙 집중식(예: Subversion) 또는 각 사용자가 저장소의 전체 사본을 갖는 분산식(예: Git, Mercurial)으로 나뉜다. 버전 제어는 동시 변경 사항을 원활하게 관리하고 충돌을 해결하여 협업을 촉진하고, 코드 무결성을 향상시키며, 지속적인 통합을 지원한다.

Git 접기

Git은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프로젝트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2025년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한 Git은 SW 개발 과정에서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여 여러 개발자가 *비선형적인 개발 환경에서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Git은 모든 변경 사항에 대한 완전한 히스토리를 유지하여 버전 간 *롤백 및 비교를 용이하게 한다. 분산 환경 덕분에 각 개발자는 저장소의 전체 사본을 보유하여 오프라인 작업 및 백업이 가능하다. Git의 주요 기능으로는 *브랜칭 및 병합 기능, 커밋을 위한 *스테이징 영역, *풀 리퀘스트와 같은 협업 워크플로 지원 등이 있다. 빠른 속도, 유연성, 그리고 강력한 브랜칭 및 병합 기능 덕분에 Git은 SW 개발, 특히 오픈 소스 프로젝트와 팀 협업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VCS로 자리매김했다.

  • 비선형적: 개발 과정이 일직선(요구사항→설계→구현→테스트→배포)의 순차적인 흐름만 따르지 않는다는 뜻
    • 즉, 기능 구현 중간에 설계를 수정하거나, 테스트를 하다가 바로 코드 구조를 바꾸는 등 여러 단계가 얽히고설켜 반복·병행되는 형태를 가리킨다.
  • 롤백(Rollback): 잘못된 커밋이나 배포 후 문제 발생 시, 이전 안정 상태로 변경 이력을 되돌리는 작업
  • 브랜칭(Branching): 주요 코드베이스에서 분기된 독립된 작업 공간을 만들어 기능 개발·버그 수정 등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Git 기능
  •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 git add 명령으로 커밋 전 변경 파일을 임시로 모아 두는 공간으로, 어떤 변경을 커밋할지 선택할 수 있게 해 준다.
  • 풀 리퀘스트(Pull Request): 분기된 브랜치에서 작업한 내용을 메인 브랜치에 병합해 달라고 요청하는 절차로, 코드 리뷰와 자동 테스트를 거쳐 안전하게 통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