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ing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또는 시스템의 기능, 성능 및 품질을 평가하여 지정된 요구 사항과 표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이다. 단위 테스트(개별 구성 요소 테스트), 통합 테스트(구성 요소 간 상호 작용 검증), 시스템 테스트(전체 시스템의 동작 평가), 그리고 인수 테스트(사용자 요구 사항 충족 확인) 등 다양한 방법론과 단계가 포함된다. 테스트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결함을 식별하고, 기능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하며, 다양한 조건에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과적인 테스트는 고품질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배포 전에 위험을 완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정리: 테스트는 소프트웨어가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단위→통합→시스템→인수 단계에서 수동·자동으로 결함을 검증해 품질을 보증하고 배포 위험을 낮추는 체계적 과정이다.

Integration Testing 펼치기

통합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여러 구성 요소 또는 모듈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여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단위 테스트 이후에 수행되며, 모듈들이 API, 데이터베이스 또는 타사 서비스를 사용하여 서로 어떻게 통신하는지 테스트한다. 데이터 불일치, 프로토콜 오류 또는 잘못된 구성과 같은 통합 지점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목표이다. 통합 테스트는 독립적으로 개발된 구성 요소가 더 큰 시스템의 일부로서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개별 단위 테스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버그를 식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정리: 통합 테스트는 단위 후 단계에서 모듈 간 API·DB·외부서비스 상호작용의 인터페이스·데이터·설정 결함(불일치/프로토콜/*오구성)을 검증해, 단위 테스트가 놓치는 상호작용 버그를 잡고 전체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확인한다.

  • 오구성: 환경·설정이 잘못되어 코드가 정상이어도 오동작/장애가 나는 상태, 즉 “misconfiguration”을 뜻한다.
Unit Testing 펼치기

단위 테스트는 프로그램의 개별 구성 요소 또는 단위를 분리하여 테스트하여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방법이다. 이 접근 방식은 함수나 메서드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서 테스트 가능한 가장 작은 부분을 미리 정의된 입력값으로 실행하고 그 결과를 예상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단위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개발자가 코딩 단계에서 자동화하여 작성하며, 이를 통해 버그를 조기에 발견하고, 코드 *리팩토링을 용이하게 하며, 각 코드 단위가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각 구성 요소를 분리하고 테스트함으로써 단위 테스트는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 관리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리: 단위 테스트는 함수·메서드 등 가장 작은 단위를 격리해 입력→예상 출력으로 자동 검증하여 버그를 조기 발견하고 리팩토링·유지보수를 안전하게 하는 개발자 주도 테스트이다.

  • 리팩토링: 외부 동작은 그대로 둔 채 내부 구조를 개선하는 활동
    • 원칙은 작게·자주 수행하고 자동화 테스트로 보호하며, 코드 스멜(중복·긴 함수 등)에 Extract Method, Rename 같은 표준 기법을 적용한다.
Functional Testing 펼치기

기능 테스트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요구 사항이 충족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스터가 소스 코드를 이해하지 못하는 블랙박스 테스트의 한 형태이며, 입력을 제공하고 예상 출력과 실제 출력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테스트가 수행된다. 이는 성능, 부하, 확장성, 침투 테스트 등을 포함하는 비기능 테스트와 대조된다.

정리: 기능 테스트는 명세대로 입력→출력 동작을 블랙박스 방식으로 검증해 시스템이 무엇을 제대로 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이다.

  • 블랙박스 테스트: 내부 코드/구조는 보지 않고 요구사항 기준의 입력·출력으로 검증하는 기법(경계값 분석, 등가 분할 등).
  • 침투 테스트: 공격자 관점에서 모의 공격으로 취약점이 실제 악용 가능한지 확인하고 위험도·개선안을 제시하는 보안 테스트.
  • 비기능 테스트: 성능·부하·확장성·보안·신뢰성·사용성 등 어떻게 잘 동작하는가를 평가해 SLA/품질 속성을 확인하는 테스트 집합.
    • SLA(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이 합의한 서비스 품질/가용성의 약속과 보상 규정을 문서로 정한 계약